728x90
반응형

 

 

- 천간과 지지의 관계

을미 일주의 2022년 임인년 운세를 보겠습니다. 먼저 일간 을목에게 임인년의 천간인 임수는 정인이 됩니다. 정인은 안정적이고 보편적인 엄마의 품과 같은 기운입니다. 그런데 너무 평안하면 안주하게 되고 안주하면 생각이 많아지면서 행동으로 옮기는 데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을미 일주는 일간 을목이 물을 필요로 하는 식물이지만, 다른 을목 일간의 일주와 달리 태생적으로 건조한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과하게 수 기운이 들어오면, 마치 선인장에 너무 물을 듬뿍 주어서 뿌리가 뜨거나 뿌리가 썩는 느낌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또한 을미 일주 스스로도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독립적으로 쟁취하는 것에 희열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기 때문에 그 자체를 존중받을 때 훨씬 더 만족감이 생기고 자신의 강점을 잘 드러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일간 을목에게 임수 정인의 기운은 생각의 기운이기도 한데, 수 기운이 너무 과하면 안 좋다는 것은, 결국 을미 일주에게 있어서는 생각을 너무 많이 하고 결정이나 선택에 앞서 주춤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안 좋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다행히 을미 일주에게 임인년의 천간 임수는 지지인 인목과 함께 하기 때문에, 일간 을목이 홀로 수 기운을 다 감당해 낼 필요는 없습니다. 즉, 함께 물을 흡수해 줄 큰 기운이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을미 일주는 어떤 안주하는 품을 떠나서 좀 더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나아가려고 발버둥칠 때, 임인년 한 해가 더욱 풍성해질 것입니다.

 

다음 을미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임인 년의 지지인 인목은 겁재가 됩니다. 을미 일주는 메마른 땅에서 성장하는 식물인 만큼, 영양분을 나눠야하는 또 다른 식물이 그렇게 반갑지만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을목과 음양이 틀린 겁재의 기운은 오히려 다른 느낌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큰 나무는 건조한 땅에서 작은 식물보다 더 깊이 뿌리를 내리고 지하의 수분을 빨아들일 수 있고, 딱딱하게 굳은 땅을 강한 뿌리로 휘저을 수 있으며, 뜨거운 햇빛을 막아주는 그늘의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을미 일주에게 임인년의 지지인 인목은 천간의 임수와 함께 오기 때문에, 일간 을목에게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그래서 고독하게 홀로 사막에 서 있는 선인장 주위로 든든하고 큰 나무가 함께하여 지켜주는 형국이 되어, 을미 일주가 좀 더 주체성 있고 자신감 있게 나아가도록 할 것입니다. 다만 을미 일주의 일지 미토의 편재 기운을 향해 일간의 을목과 임인년의 지지인 인목이 함께 작용하게 되면, 때로는 성급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을미 일주는 임인년에, 어떤 목표를 향해 자신있게 나아가는 것은 좋지만, 너무 빨리 결과를 보려하기보다 과정을 잘 다져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 임인년 신살의 작용

다음 임인년의 지지인 인목은 역마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을미 일주의 일간인 을목에게 인목은 겁재가 되기 때문에, 일간이 힘을 받아서 좀 더 자신감 있고 진취적이며 독립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주게 됩니다. 또한 을미 일주의 일지 미토 편재의 기운은, 일간 을목이 온전히 제어하기에는 버거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을미 일주는 마음의 욕심이 다 채워지지 않는 아쉬움이 항상 남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임인년에는 인목의 기운이 겁재이자 역마살의 기운으로 작용하면서, 다양한 방식과 방향으로 원하는 바를 잘 공략해 나갈 것입니다.

 

다음 을미 일주의 일지인 미토와 임인년의 지지인 인목은 귀문관살의 기운을 불러오게 됩니다. 귀문관살의 기운은, 부정적인 기운이 아니라 아슬아슬한 긴장의 기운입니다. 긴장감이 커지면 예민해지고 집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나름에서 천재적 생각과 행동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긴장된 기운은 지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오지 않고 지지부진하게 늘어지게 되면 엉뚱한 방향으로 기운이 쏠려갈 수 있습니다. 특히 을미 일주는 임인년에 강한 정인의 기운도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너무 신중하고 생각이 많아질 때, 오히려 마음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을미 일주는 임인년 한 해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느낌이 될 텐데, 이때에는 확실하게 멈추거나 아니면 확실하게 나아갈 때 사고가 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을미 일주는 임인년에 멈추기보다는 확실하게 나아가는 선택을 할 때 다른 기운 작용의 흐름도 좋아지고, 귀문관살의 부정적 느낌도 해소되면서 긍정적 승화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임인년에 귀문관살의 기운은, 하반기에 더 강해지는 만큼, 하반기에는 어떤 목표가 생겼을 때, 일관적이고 과감하게 밀고 나가시면 좋습니다.

 

 

- 십이운성론의 관점

마지막으로 십이운성론의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을미 일주에게 임인의 지지인 인목은 제왕의 흐름이 됩니다. 제왕은 일간의 기운 흐름에 있어 정점에 이른 단계입니다. 그만큼 일간이 강하게 힘을 받을 수 있고, 주체적이며 독립적으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을미 일주는, 일지 미토의 지장간 안에 비견, 식신, 편재의 기운이 내재해 있어, 나름의 리듬과 탄력을 받았을 때 빠르고 집중적으로 나아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인년에 제왕의 흐름을 타게 되면, 이러한 특성이 더욱 과해질 수 있습니다. 자신의 리듬을 탄다는 것은, 혼자 전문적인 일을 처리할 때에는 강점이 될 수 있지만, 누군가와 함께 일할 때에는 독선적인 모습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목표를 이루어야겠다는 강한 확신과 자신감이 들어오게 되면, 때로는 밑에 사람을 과하게 억누를 수도 있고, 그에 따른 반발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 혼자에게 주어진 일에 대해서는 이러한 흐름의 강점을 잘 살리면 좋고, 함께 일하는 중에는 주변과 소통성을 늘리고, 조화로움을 찾으며, 템포를 맞춰서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사주원국에서 일간이 약한 상태라면, 임인년에는 좀 더 과감하게 움직여도 좋고, 일간이 이미 강한 상태라면, 임인년에는 적절히 속도 조절을 하면서 주위를 살피면 좋습니다. 그렇게 전체 사주의 균형관계를 따지면서 임인년을 맞이하신다면, 충분히 긍정적인 한 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