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임술 일주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임술 일주는 왼쪽에서 두 번째, 위에 검정, 밑에 노랑, 임술이라고 읽는 부분입니다. 위에 검정은 양의 수 기운이고 큰 강이나 바다, 시간대로는 한 밤, 그리고 안개나 습기 등을 상징합니다. 밑에 노랑은 양의 토 기운이고, 척박한 땅, 사막, 동물로는 개 등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위와 아래의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로 형상화하면 척박한 땅을 흐르는 강, 한 밤의 개, 한 밤의 안개 낀 사막 등이 됩니다. 임술 일주의 이미지에 대해 설명드리기 전에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임술 일주의 경우 일주의 특성이 잘 드러나기도 하고 잘 드러나지 않기도 하는 양면성이 좀 강하게 보이는 일주입니다. 따라서 아래 임술 일주에 대한 설명은, 그 일주의 기운이 잘 발현했을 때의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임술 일주를 기준으로 하는 한 사람의 사주 해석은, 주변 기운의 특성과 실제 행동이나 성향의 발현을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척박한 땅을 흐르는 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임술 일주는 임진 일주와 비교가 됩니다. 앞선 강의에서 설명드린 임진 일주가 풍요로운 땅을 흐르는 강이라면 임술 일주는 척박한 땅을 흐르는 강입니다. 물이라는 것은 생명 탄생의 근간입니다. 하지만 척박한 땅은 생명이 뿌리내리기에는 아직 준비가 안 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는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준비가 안 된 원시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만큼 새로 개척하고 개간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이는 마음 상태가 상당히 강건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는 기본적으로 결기와 마음의 긴장감이 강하게 있습니다. 한편 새롭게 이루어가야 할 것이 많은 상태에서는 때때로 자포자기하는 마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임술 일주가 앞을 향해서 에너지가 흘러가지 못할 때에는 의존적이고 눈치를 보는 모양새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가 긍정적 발현을 하자면 너무 안주하고 위험을 회피하려 하기보다는 과단성 있게 도전적 움직임을 하는 게 좋습니다. 실제로 임술 일주가 기운의 흐름이 좋다면 익스트림한 스포츠도 즐기고, 격투 운동에서도 실력 발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극기심과 인내심, 상황 인지능력과 대응능력 등의 잠재력이 좋은 일주입니다.

 

다음 한 밤의 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개라는 동물은 기본적으로 책임감이 강한 동물입니다. 게다가 한 밤은 개가 가장 긴장하면서 집을 지키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도 잘 발현이 되면 강한 책임의식과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위엄있는 모습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이성적 판단을 하면서 상황을 통제하려는 리더의 모습도 갖게 됩니다. 하지만 밤의 기세와 막연한 어두움에 잠식되면 개도 그 본능적 기질을 잃고 꼬리를 내리면서 숨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바로 임술 일주의 양면성이 됩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의 사람이 무언가 위축된 모습으로 있다면 개가 목표를 정하면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것처럼 작은 단계부터 근성을 키워주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밤의 안개 낀 사막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사막이라는 환경은 아주 건조하기에 물을 갈구합니다. 그런데 한 밤의 안개는 애매한 느낌입니다. 비가 내려서 흠뻑 적셔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안개 속의 수분이 응결되면서 사막을 촉촉하게 적셔줍니다. 이런 느낌 때문에 임술 일주의 마음 상태도 변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적절히 습기가 있기 때문에 마음의 여유가 있다가도, 다음날 다시 해가 뜨면 그 습기가 증발해 버릴 수 있다는 걱정도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임술 일주는 무언가 다 같이 나눌 것 같다가도 다시금 마음의 불안감 때문에 거둬들일 수 있는 성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호탕한 것 같으면서도 마음을 닫으면 아주 냉랭한 모양새를 띄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다른 설명으로는 임술 일주의 밑에 술토가 늦가을의 마감을 상징하고, 위에 임수가 생명의 잉태를 상징하기에 야박함과 관대함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더불어 임술 일주는 잘 발현이 될 때 기본적으로 리더의 자질도 있고 상황 통제력도 있어서 권력 계통의 공직이나 의료 계통에서 큰 수술을 집도하는 쪽에서도 재능 발현이 좋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에도 설명드린 것처럼 대담성을 발휘해야 하는 운동에서도 재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한편 마음의 책임감은 원칙주의적이고 보수적 기질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칙을 지키고 보수적으로 움직이는 게 불확실한 상황을 확실하게 만드는 기본 처세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마음이 과하게 작용하면 독단적 모습이 될 수 있고, 가정 내에서도 자신의 원칙을 권위적으로 강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술 일주는 명상이나 종교 활동 등을 통해서 마음의 여유로움을 키우고,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다른 사람의 의견도 경청하고 반영해 가면 좋습니다. 또한 임술 일주의 강점이 잘 발현되지 않는 사람의 경우에는 위에도 설명드린 것처럼 작은 것부터 조금씩 책임을 지고 근성 있게 버티는 연습을 시키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사주 강의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63. 계묘 일주  (0) 2019.11.20
강의 62. 계축 일주  (0) 2019.11.20
강의 60. 임신 일주  (0) 2019.10.22
강의 59. 임오 일주  (0) 2019.10.22
강의 58. 임진 일주  (0) 2019.10.22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