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WUem24OhTU

<천간과 지지의 관계>

정해 일주의 일간 정화에게 계묘년의 천간 계수는 편관이 됩니다. 편관은 극기심과 돌파력, 권위 등의 기운이지만 또 한편으로 불규칙적인 압박과 스트레스, 책임의 무게 등에도 해당을 합니다. 더불어 정해 일주는 일지 해수에 정관의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해 일주에게 계묘년의 천간 계수는 일지의 해수 정관과 함께 관살혼잡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본인이 나름에서 안정적 시스템과 일상의 루틴을 만들어 놨어도, 계묘년에는 그렇게 유지되던 일상에 변수들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긴장감이 커지고 스트레스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변수와 긴장감, 책임의 무게 등을 이겨낸다면 자연스럽게 명예와 권위, 직위 등이 오를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계묘년의 천간 계수가 편관이기는 하지만, 지지의 묘목이 편인이 되기에 자연스럽게 관성의 기운을 받아주게 되고 자기 확신이 커질 수 있기에, 한 해의 전반기를 잘 이겨낸다면 하반기에는 다시금 안정적 흐름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관성의 기운은 이동수의 기운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사나 이동의 계획이 있다면 선제적으로 그것을 행하심도 좋고, 그런 큰 이동이 없다면 자리 배치나 가구 배치 등에 있어 주도적으로 변화를 한 번 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신발끈을 다시 묶는 느낌이 되어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음 정해 일주의 일간 정화에게 계묘년의 지지인 묘목은 편인이 됩니다. 편인은 주관적인 자기 확신의 기운입니다. 또한 인성의 기운이 기본적으로 포용과 수용의 기운이지만, 편인의 기운은 자신의 기준으로 걸러서 받아들이는 기운이 좀더 강하게 됩니다. 그만큼 전반기의 스트레스 이후에 자신의 주관에 의한 확신이 커지는 만큼, 좋게 말하면 강한 뒷심과 뚝심이 생기게 됩니다. 다만 자기 확신은 주변에서 보기에 아집으로 보일 수도 있기에 본인 스스로 의도적 소통과 대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음 정해 일주의 일지 해수에게 계묘년의 지지인 묘목은 지지반합을 이루게 됩니다. 그래서 관성의 기운이 자연스럽게 인성의 기운으로 완충되게 됩니다. 이는 정해 일주가 하반기로 갈수록 합격운, 계약운 등이 좋아지고 안정감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다만 어떤 책임의 무게감을 감당하면서 적정한 사회적 위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오히려 인성의 기운이 커지면서 늪에 빠진 듯이 잠기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해 일주는 주변에서 주어지는 책임의 무게를 거부하기보다는 조금 힘이 들어도 적절히 감당하고 봉사하는 느낌으로 한 해의 전반기를 보낸다면 갈수록 좋은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신살의 작용>

정해 일주에게 일지 해수는 역마살의 기운이고 관성의 기운입니다. 그래서 미리 앞서 준비하고 계획하려 하고 때로는 초조한 느낌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런데 계묘년의 지지인 묘목은 도화살의 기운이고 인성의 기운입니다. 그래서 어떤 행동하고 드러내는 속에서 자신이 돋보이는 게 아니라, 평안하고 여유있게 품위를 지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자신이 돋보이게 됩니다. 특히 일지 해수와 지지의 묘목이 지지반합을 이루어 도화살의 목 기운을 강화시키는 만큼, 정해 일주는 굳이 나서지 않아도 분위기로 압도할 수 있는 한 해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나 본인 일주 자체에 주어진 천을귀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잘 살린다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십이운성론의 관점>

정해 일주에게 계묘년의 지지인 묘목은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병의 흐름이 됩니다. 병이라는 것은, 기운이 쇠하는 느낌이 있기도 하지만 또 그 강점에서 볼 때에 공감능력과 주변을 아우르는 힘, 나아가 직관력이 좋아지는 흐름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나 병의 흐름은 과하게 앞에 나서서 주변을 이끌고 자신을 드러내는 흐름이 아닙니다. 병상에 누운 환자가 살아온 인생을 관조하고 곱씹고 조언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해 주는 그런 느낌이 됩니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이해하고 포용하려 한다면, 그 긍정성이 배가 될 것입니다. 주변과 공감한다는 것은 무언가 지적하고 지시하고 원칙과 틀을 강요하고 자신의 생각을 고집스럽게 밀고나가는 게 아니고 수용하고 포용하는 것임을 잘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