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fdrR2A5q3Y

 

 

2024년 을묘 일주 갑진년 운세

 

<천간과 지지의 관계>

을묘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갑진년의 천간 갑목은 겁재가 됩니다. 겁재는 같은 오행의 기운이지만 음양이 다른 만큼 자신에게 힘을 주기도 하지만 자신의 것을 빼앗아 가기도 한다고 해석을 합니다. 그런데 일간이 음간일 때에는, 겁재의 기운이 부정성보다는 긍정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특히 생명력은 좋지만 강하게 위로 솟구치는 기운이 약한 을목에게는 겁재 갑목의 기운 도래가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굳이 등라계갑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직관적인 느낌에서도 일간 을목에게 갑목의 기운은 어울림이 좋습니다. 그런 만큼 을묘 일주에게 갑진년은 강하게 힘을 주고, 독립심과 주체성을 키워주게 될 것이며, 상황 주도력도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자신에게 든든한 기운이 들어오면, 조금은 오만해지거나 독단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 이러한 부분은 잘 제어함이 좋습니다.

 

다음 을묘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정재가 됩니다. 정재는 편재와 달리 안정적인 결실의 흐름이 됩니다. 그만큼 어떤 우연적 한 방이나 횡재의 기운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차곡차곡 단계적으로 결실이 들어오고, 체계적인 느낌으로 주변 관계와 자신의 영역을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굳이 성급하게 움직일 필요없이 계획적이고 단계적으로 자신이 목표로 한 바를 향해 나아간다면 좋을 것입니다. 더불어 정재의 기운은 남자에게 있어 결혼과 연애의 기운인 만큼, 관련한 계획이 있다면 좋은 결과가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을묘 일주가 일간과 일지가 같은 간여지동의 일주이고, 갑진년에는 여기에 더하여 겁재의 기운까지 도래하기 때문에, 재성을 향한 마음의 쏠림이 성급하고 일방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을묘 일주는 갑진년을 맞이하여, 어떤 목표를 향해감에 있어 조금은 지루하고 답답한 감이 있을 수 있지만 과정을 밟아가면서 소통성을 늘리고 개연성을 더할수록 훨씬 안정적이고 풍성한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다음 을묘 일주의 일지 묘목의 지장간 안에는 을목과 갑목의 기운이 있고,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의 지장간 안에는 을목, 계수, 무토의 기운이 있으며, 십이지지의 흐름에서 묘목과 진토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인접한 기운 흐름이 됩니다. 그런 만큼 익숙하고 안정적으로 일지 묘목의 기운이 갑진년의 진토에게 뿌리를 내릴 수 있습니다. 특히 진토는 수 기운의 고지인 만큼 을묘 일주 전체에게 인성의 에너지를 더하여주고, 진토 자체의 정재의 결실을 나누어주게 됩니다. 따라서 을묘 일주는 갑진년을 맞이하여 너무 과도한 경쟁의 마음으로 덮치듯이 성급하게 목표를 향해 나아가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좋은 성과와 결실을 얻게 될 것입니다.

 

 

<신살의 작용>

을묘 일주의 일지 묘목은 도화살의 기운이 됩니다. 그리고 일간 을목에게는 비견의 기운이 되는 만큼, 보통은 자신이 앞서 자신을 드러내려하기보다 사람들이 자신의 존재감을 알아봐주기를 원하게 되지만, 경쟁의 상황이 되면 적극적으로 본인을 어필하려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을묘 일주는 마치 대나무처럼 강함과 부드러움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멈춰있을 때보다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움직일 때 그 강점과 매력이 도드라지게 됩니다. 다만 기본에서 밀리지않는 일주이면서 자신의 주관을 가지고 꿋꿋하게 나아가는 일주인 만큼, 시기와 질투가 따르고 뒷담화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을묘 일주에게 갑진년에는 진토 화개살의 기운이 도래합니다. 그리고 이 진토 화개살은 일간 을목에게 재성의 기운으로 작용합니다. 그런 만큼 화개살의 잠재된 기운들이 잘 활성화될 수 있고, 일간 을목에게 힘을 주게 됩니다. 또한 이 진토 화개살의 기운은 일지 묘목의 도화살 기운이 지향해 나갈 목표가 되는 만큼, 자연스럽게 을묘 일주 본연에 내재한 끼를 잘 발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다음 십이신살의 관점에서 을묘 일주의 일지 묘목을 기준으로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반안살이 되고, 일지 묘목은 장성살이 됩니다. 반안살은 일명 ‘안장살’로도 불리우는데, 이는 말의 안장에 오르는 것처럼 높은 곳에 오른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리고 이 반안살은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쇠에 비유되는 것처럼, 십이지지의 흐름에서 정점에 이른 장성살의 다음 흐름의 기운이 됩니다. 이는 정점에 이르렀던 강한 힘에 대한 여운은 남아있으면서, 주변의 견제를 피할 수 있는 한 발짝 뒤로 물러난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십이신살에서는 이 반안살의 기운을 십이운성론의 건록이나 천을귀인 만큼 좋은 기운으로 보기도 합니다. 다만 모든 살은 양날의 칼인 만큼, 반안살의 기운도 높은 위치에 오른 상태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따른 여유와 힘을 가질 수도 있지만, 과시욕이 생기고 허세를 부리게 될 수도 있으며, 자기 과신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을묘 일주에게 갑진년의 반안살의 기운인 진토는 일지인 묘목 장성살의 기운을 보좌하고 추가적인 힘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을묘 일주는 일간과 일지가 같은 일주인 만큼, 일지가 힘을 받는 것과 비례하여 일간도 힘을 받게 됩니다. 이는 일간 을목이 일지 묘목과 더불어 안정적으로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 정재의 기운을 아우를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을묘 일주는 갑진년에 재성에 대한 확실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결실을 잘 획득하게 될 것입니다. 다만 남자에게 재성은 여자의 기운이고, 여자는 재물이 아닌 사람인 만큼, 마치 재물처럼 여자를 제어하려 한다면 과도한 집착이나 통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을묘 일주 남자는 이에 대한 주의는 필요합니다.

 

 

<십이운성론의 관점>

을묘 일주의 일지 묘목은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일간 을목을 기준으로 건록이 됩니다. 건록은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최고의 정점인 제왕으로 가기 전단계가 됩니다. 그래서 힘도 좋고, 경험의 완숙미도 넘치는 기운입니다. 하지만 긴 경험의 시간을 거쳐왔다는 것은, 융통성이 과다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절대적 도덕률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망신의 기운이 올 수도 있고, 그 망신의 흐름 속에서도 아무렇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런 만큼 건록의 기운은 어떤 상황 속에서도 크게 휩쓸리지 않고 원하는 바를 얻게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을묘 일주에게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관대의 흐름이 됩니다. 관대의 기운은 갓 사회에 나온 청년의 느낌이 됩니다. 그만큼 적극성이 넘치고 도전적이며 때로는 무모한 질주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진성이 있기 때문에, 강력한 돌파력이 생기게 되고, 그러한 돌파의 힘 때문에 주변과의 충돌과 저항도 함께 커지면서, 좌충우돌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을묘 일주의 건록의 기운이 관대의 기운을 만나는 것은, 강력한 뒷심을 받으면서도, 건록의 완숙미로 인하여 관대의 무모함이 조절되어 작용하게 됩니다. 그만큼 을묘 일주는 갑진년에 많은 것을 이루고 쟁취할 수 있는 힘이 형성되는 한 해가 됩니다. 특히 갑진년의 천간으로는 갑목의 기운까지 함께 하는 만큼, 일간 을목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환경이 형성된 상태가 됩니다. 다만 사주에서 힘이 커진다는 것은, 무조건 좋은 일이 많을 것이라는 것을 담보하지는 않습니다. 모난 돌이 정맞는 것처럼, 너무 강하게 도드라진다는 것은 그만큼의 견제와 저항도 커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을묘 일주는 갑진년에 주변과의 소통성을 늘리고, 무작정 결과로만 직진하려 하기보다, 조금은 답답하고 느리더라도 주변과 소통하면서 단계를 밟아가는 과정에 충실하는 게 좋습니다. 더불어 적절히 자신에게 들어온 결실을 주변과 나누고 공공을 위한 책무를 일부 떠안고 나아간다면, 자신의 힘을 발산하는 데에 있어 속도 조절도 되고, 자신을 향할 수 있는 견제에 대해서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