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Swt5CM-E9bc

 

부모 역할의 적정선 / 부모들은 종종 학부모 상담에서 선생님을 통해 집안에서와는 전혀 다른 아이의 학교에서의 모습을 듣고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부모들은 집안에서의 자존감 높은 행동과 달리 밖에서는 소심한 아이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사랑을 덜 주었기 때문이라 탓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생각의 이면에는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신봉한 프로이트 이론과 행동주의 심리학을 근간으로 하는 ‘양육가설’이 있습니다. 이는 아이의 성장과 성격 형성에 있어 부모와 가정의 환경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하는 가설입니다. 그런데 주디스 리치 해리스는『양육가설』이라는 책에서 이제 기존의 ‘양육가설’로부터 부모들이 해방되어야 하고, 양육에 있어 적정선을 찾아야 함을 설파합니다. 저자는 아이의 성장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상관관계는 있을지언정 인과관계로 완전히 묶이는 것은 아니라 말합니다. 더불어 저자는 아이의 성장과 성격 형성에 있어 더 중요한 것은 부모와 가정의 틀보다 또래 집단임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집단사회화 이론’으로 명명하고자 합니다. 이를 토대로 저자가 주장하는 부모 역할의 적정선은 즐길 수 있을 만큼만 하라는 것입니다. 자녀가 어떤 인간이 되는지는 부모가 아이에게 얼마만큼의 애정을 쏟았는지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 부모는 자식에 대한 사랑과 노력의 미흡함에 대한 부담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또한 성인이 된 자식은 자신의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부모 탓을 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