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tv.kakao.com/channel/3409846/cliplink/403075586

병진 일주는 왼쪽에서 두 번째, 위에 빨강, 밑에 노랑, 병진이라고 읽는 부분입니다. 위에 빨강은 양의 화 기운이고 태양, 대낮, 빨간색을 상징합니다. 밑에 노란색은 양의 토 기운이고 습기를 머금은 토 기운이라 사막보다는 영양분이 충분한 초원이나 갯벌을 상징합니다. 또한 동물로는 용을 상징합니다. 위와 아래의 이미지를 하나로 형상화하면 태양이 내리쬐는 광활한 초원, 붉은 용인 적룡, 대낮의 갯벌 등이 됩니다.

 

먼저 태양이 내리쬐는 광활한 초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초원은 기본적으로 시야가 확 뚫려있습니다. 게다가 태양까지 비추고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잘 보입니다. 따라서 병진 일주는 기본적으로 시야가 넓고 좋습니다. 그만큼 상황 판단력이나 상황 스캔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런 능력을 바탕으로 타이밍을 잘 맞추게 됩니다. 즉, 본인에게 피해가 올 수 있는 상황을 때에 맞춰 잘 피하게 됩니다. 또한 사람에 대해서도 빨리 파악할 수 있고, 대화 중에도 핵심을 금방 알아채게 됩니다. 따라서 장황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성향은 아니지만 적절히 핵심적이고 필요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일주가 됩니다. 또한 광활한 초원은 감출 게 없음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병진 일주는 큰 틀에서는 솔직하고 직선적인 성향을 갖게 됩니다.

 

다음 붉은 용, 즉 적룡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적룡은 색깔 기운에서도 느껴지듯이 역동성을 상징합니다. 그 만큼그만큼 병진 일주는 본인이 마음에 둔 것에 대해서는 열정적으로 임하게 됩니다. 취미가 됐든, 일이 됐든, 사람이 됐든 관심이 있으면 몰입합니다. 또한 몰입을 한다는 것은 멀티 능력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병진 일주는 이것저것 한 번에 해내기는 버겁습니다. 그런데 용이라는 동물 자체는 역동성도 있고 변덕심도 있습니다. 그래서 병진 일주도 싫증을 빨리 낼 수 있고, 한 번 싫어진 것에 대해서는 다시 돌아보지 않게 됩니다. 또한 적룡은 열정적이면서도 먹이 사슬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동물입니다. 그만큼 일주의 기운이 강하다면 기분파의 기질, 제멋대로의 기질, 자기중심적인 기질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적룡은 열정적으로 자신을 드러내려 하기 때문에, 무대 기질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비주얼을 따지게 됩니다. 그만큼 자신을 꾸미는 것이나 예술적이고 미적인 것에 대해서 관심이 많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 대낮의 갯벌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갯벌은 겉에서 보기에는 밋밋하고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 속에는 게나 망둥어 등 다양한 동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이는 포용력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병진 일주는 멀티 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여러 사람을 한 번에 만나는 것을 꺼려하기는 하지만, 그 관계성의 폭에 있어서는 상당히 넓습니다. 또한 본인이 혼자서 많은 것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적절히 자신의 관계성에서 필요한 것을 얻어낼 수 있는 수완가의 기질이 있습니다. 즉, 자신이 모르는 것을 굳이 새롭게 공부하기보다는, 그 부분을 아는 사람에게 바로 물어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는 항시 살 길이 열려있는 일주이기도 하기에 굶어죽기 힘든 일주입니다. 한편 갯벌이라는 것은 그 안에 많은 생명체들을 포용하기도 하면서, 그 속 안에서 벌어지는 일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가 첫 번째 이미지에서 병진 일주는 큰 틀에서는 솔직하다고 했는데, 또 이 갯벌의 이미지를 보게 되면 필요에 따라 의뭉스러운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의뭉스러운 모습과 솔직한 모습이 함께 작용하게 되면, 보통 파벌을 이루게 됩니다. 즉, 자신이 좋은 사람과 싫은 사람의 구분을 명확하게 두게 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병진 일주는 좋고 싫은 게 분명하고 좋은 것을 위해서라면 때로는 의뭉스러워질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런 성향 때문에 관계성의 폭이 넓으면서도, 또 본인을 싫어하는 적들도 명확하게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병진 일주는 적룡의 이미지 속에서 성급함이나 다급함의 모습이 엿보이기도 하지만, 갯벌의 이미지 속에서는 느긋함도 보입니다. 그래서 병진 일주는 항시 분주하고 바쁜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아주 빨리 움직이지만 또 느긋할 때에는 상당히 느긋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선택은 좀 자신의 기분을 우선으로 두게 되고, 본인 기분에 상황이 따라와주지 않으면 표정 관리가 잘 안 될 수 있는 일주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사주 강의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24. 병신 일주  (0) 2019.10.13
강의 23. 병오 일주  (0) 2019.10.13
강의 21. 병인 일주  (0) 2019.10.13
강의 20. 병자 일주  (0) 2019.10.13
강의 19. 을해 일주  (0) 2019.10.13
Posted by 777lil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