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QqBNVF0pKU

 

- 2025년 갑인 일주 을사년 운세 2부

 

<신살의 작용>

다음 신살의 작용을 보겠습니다. 갑인 일주에게 을사년의 지지인 사화는 글자로만 볼 때, 역마살이 됩니다. 그리고 이 일지 사화는 일간 갑목을 기준으로는 십성론의 관점에서 식신이 됩니다. 식신의 기운이 역마살로 작용한다는 것은, 순수하게 자신이 원하는 바를 찾아서 움직임이 생길 수 있고, 기존의 시스템이나 원칙을 깨기 위한 반발의 움직임도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새로움으로의 확장을 의미하기도 하기에, 변화의 시작이 될 수도 있지만, 새로움을 향해서 간다는 것은 아무래도 주변의 저항을 뚫고 나아가야 하기에 일부의 구설과 충돌도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음 갑인 일주 자체만 놓고 보면, 일지 인목은 역마살의 글자가 됩니다. 그리고 인목의 지장간 안에는 비견, 식신, 편재의 기운이 내재해 있습니다. 그래서 갑인 일주는 의미없는 움직임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목표로 하는 바를 두고 움직이는 것을 선호하게 되고, 그러한 움직임의 경험 속에서 자신을 발전시키게 됩니다. 이는 역으로 앉아서 공부만 하는 것에는 지루함을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갑인 일주는 기본적으로 활동 속에서 기회를 찾고, 경험 속에서 자신을 발전시키며, 현실적 결실을 통해서 만족감을 느낄 때 최선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이러한 갑인 일주에게 을사년에 추가로 사화 역마살의 기운이 도래한다는 것은, 자신의 새로움을 향한 변화에 대해, 힘도 있고 본인 나름의 명분도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무언가 기존의 것을 벗어나서 도모하는 바가 있다면 힘있게 밀고나갈 수 있습니다. 다만 대외적 명분이 아닌 본인 스스로의 명분과 그것을 위한 힘이 생긴다는 것은, 자기중심성이 강해질 수 있고 일방적이 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으로 저항을 깨부수려는 저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기에 속도 조절을 할 필요는 있습니다.   

 

다음 십이신살의 관점에서 갑인 일주의 일지 인목을 기준으로, 을사년의 지지인 사화는 망신살이 되고 일지 인목은 지살이 됩니다. 갑인 일주에게 을사년에 망신살이 작용한다는 것은, 긍정과 부정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는 면이 있습니다. 망신살의 어감 자체는 부정적 느낌만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망신이라는 것은 공개적 주목도를 이야기합니다. 아무런 존재감 없는 사람은 어떤 틀에서 벗어나는 행위를 해도 무관심으로 끝나거나 지근거리의 문제로 끝납니다. 하지만 존재감이 강한 사람의 경우는 공개적 망신이 되고 그 파급력이 큽니다. 그런데 이를 역으로 해석하면 망신을 제대로 당한다는 것은, 또 그만큼의 위치에 올라 있거나 오를 수 있는 힘이 있음을 의미하며, 주변의 손가락질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당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특히 자신의 기존 영역을 벗어나 새로움으로 확장해 가자면 어쩔 수 없는 손가락질은 따르기 마련이고 그것을 지나가는 것 또한 필요하기에, 망신살의 작용이라는 것이 부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긍정성을 향한 시그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갑인 일주는 을사년을 맞이하여 망신의 기운이 자신의 근간을 흔들 정도로 작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망신 그 자체가 두려워서 해야할 바를 하지 않을 건 없습니다. 물론 망신살이 십이운성론의 관점에서 건록과 비교되는 면이 있는 만큼, 무모한 돌파보다는 노련하고 유연하며 완숙미있게 대처하면 더 좋을 것입니다.

 

다음 대운에서 갑인 일주가 신금의 기운이 들어와 있다면 인신사 형살을 이룰 수 있는 면이 있기도 하고, 을사 일주의 일지 사화가 지지합에 근거하여 신금을 불러오는 면이 있기도 합니다. 이는 결국 신금의 기운 작용이 발생하게 될 때, 갑인 일주는 형살이 되든, 인신 충이 되어 일지가 충격을 받든 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신이 과하게 열정과 에너지를 쏟으려 하면, 마치 우주선이 지구를 벗어날 때, 대기권을 강하게 돌파하려 하면 할수록 그 저항은 비례해서 커지는 것과 같은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신체적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상황적 막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갑인 일주는 을사년에 너무 직선적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과하게 쏟으려 하기보다, 꼬이고 꼬인 매듭을 차분하게 풀어가는 느낌으로 무언가 달래듯이 에너지를 부드럽게 펼쳐내면 좋을 것입니다. 특히 에너지가 넘칠 때에는 과도한 운동이나 음주, 업무 등이 처음에는 괜찮게 느껴지지만 급작스러운 반전이 올 수 있기에 역시나 적절히 선을 지키고 균형을 유지하려 함이 좋습니다.

 

 

<십이운성론의 관점>

다음 십이운성론의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갑인 일주는 일주 자체적으로는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건록이 됩니다. 건록은 관대의 무모하고 저돌적인 흐름을 지나 경험의 완숙미가 쌓인 단계입니다. 또한 제왕이라는 정점의 목표를 앞두고 있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그런 만큼 상황을 아우르는 힘이 좋고 목표로하는 바를 쟁취할 수 있는 역량이 있습니다. 또한 아직 제왕의 단계에 오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변의 견제가 덜할 수 있고 각종 구설이나 비판에 대해서도 경험의 완숙미로 유연하게 넘길 수 있습니다. 다만 능력있고 안정적인 기운은 본인의 대처가 어떠냐와는 별개로 시기와 질투를 부르게 됩니다. 특히 갑인 일주는 기본적으로 자신감과 자부심이 강한 일주인 만큼, 오는 사람 안 막고 가는 사람을 강하게 잡지도 않지만, 그 자체가 누군가에게 자격지심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갑인 일주는 필요에 따라서 너무 강한 척만 하기보다 가식적으로라도 자신도 무너질 수 있고 약할 수 있다는 느낌을 준다면 주변으로 기운을 뺏기거나 과도한 견제를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을사년에는 이러한 갑인 일주의 건록의 기운에 대해 사화 병의 기운이 도래합니다. 병의 기운은 병상에 누운 환자와 같은 상태가 됩니다. 그렇다고 몸이 무조건 아프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병상에 누운 환자처럼 지나온 날들을 관조하고, 자신이 아프기 때문에 주변에 대한 공감 능력이 커지며, 아픈 현실에 대한 심리적 수긍과 저항이 반복되면서 변덕스러운 심리 상태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사화 병의 기운은, 일간 갑목에게는 식신이 되기 때문에, 한편으로 상대적 박탈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식신의 흐름을 타서 질주하고 싶은데, 또 다른 한편에서는 병의 흐름 때문에 막힘이 생기거나 기운이 빠지는 형국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교묘하게 본인 내면의 욕구불만을 발생시키면서 심리적 짜증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일적으로나 건강적으로 스스로의 마음 상태에 의해서 꼬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갑인 일주는 을사년에 일이 마음처럼 잘 안 풀리거나 기운이 빠지고 아프거나 할 때, ‘왜 이럴까?“ 라는 구체적 질문과 원인을 찾으려 하기보다, 적당히 내려놓고 여유있게 가라는 신호로 이해하여, 자신이 하고 있는 모든 활동에 대해 적절한 속도 조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음을 비우면 순리대로 자연스럽게 길이 열릴 것이고, 마음을 가득 채우면 오히려 뚫고나갈 길이 더 막혀버리는 역설적 상황이 생길 수 있음을 염두하여 한 해를 보낸다면, 갑인 일주에게 을사년은 새롭게 도약하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