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dcLbj1Y2Fc

 

 

- 2024년 을축 일주 갑진년 운세

 

<천간과 지지의 관계>

을축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갑진년의 천간 갑목은 겁재가 됩니다. 겁재는 같은 오행의 기운이지만 음양이 다른 만큼 자신에게 힘을 주기도 하지만 자신의 것을 빼앗아 가기도 한다고 해석을 합니다. 그런데 일간이 음간일 때에는, 겁재의 기운이 부정성보다는 긍정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특히 생명력은 좋지만 강하게 위로 솟구치는 기운이 약한 을목에게는 겁재 갑목의 기운 도래가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굳이 등라계갑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직관적인 느낌에서도 일간 을목에게 갑목의 기운은 어울림이 좋습니다. 그런 만큼 을축 일주에게 갑진년은 강하게 힘을 주고, 독립심과 주체성을 키워주게 될 것이며, 상황 주도력도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자신에게 든든한 기운이 들어오면, 조금은 오만해지거나 독단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 이러한 부분은 잘 제어함이 좋습니다.

 

다음 을축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정재가 됩니다. 정재는 편재와 달리 안정적인 결실의 흐름이 됩니다. 그만큼 어떤 우연적 한 방이나 횡재의 기운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차곡차곡 단계적으로 결실이 들어오고, 체계적인 느낌으로 주변 관계와 자신의 영역을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굳이 성급하게 움직일 필요없이 계획적이고 단계적으로 자신이 목표로 한 바를 향해 나아간다면 좋을 것입니다. 더불어 정재의 기운은 남자에게 있어 결혼과 연애의 기운인 만큼, 관련한 흐름이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다음 을축 일주의 일지 축토는 금 기운의 고지이고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기운인 만큼, 일간 을목이 편안하게 뿌리를 내리기는 버거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수 기운의 고지이고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기운인 만큼, 일간 을목이 좀 더 뿌리를 내리기 원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진년의 천간 갑목이 일간 을목과 함께 하고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가 축토의 차가움을 일부 녹여주는 만큼 을축 일주의 일간 을목의 재성을 향한 주도권이 좋아지게 됩니다. 다만 일지 축토는 편재의 기운이고,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정재의 기운이기 때문에, 일부 재성 혼잡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한 가지 목표에만 집중하는 게 아니라 이것저것 손을 대거나 필요 이상으로 물질적 현혹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운 방향의 일관성을 유지하자면, 관성의 기운을 염두하면 좋습니다. 이는 자신만의 이득을 먼저 챙기거나 과도하게 물질적 결실에 집착하는 것을 넘어, 공공의 명분을 갖는 것입니다. 즉, 자신이 하는 일이 단순히 돈을 버는 것 이상으로 공공의 이득에 기여한다는 느낌의 대의적 명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어떤 큰 명분을 가지고 을축 일주가 한 해를 보낸다면, 일부의 재성 혼잡에 의한 기운 소진이나 두서없을 수 있는 느낌을 통제하고 좀 더 크게 결실을 아우르고 다음 흐름으로 나아가는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살의 작용>

을축 일주의 일지 축토는 화개살의 글자가 됩니다. 화개살은 잠재적 역량이 크고, 고집과 뚝심이 강하며, 명예를 추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축토 화개살의 기운은 화개살의 기운은 일간 을목에게는 편재가 되는 만큼, 축토의 잠재된 기운을 잘 깨우고 그로 인해 얻은 결실을 잘 아우르며 자신에게 소속된 것들을 잘 품고 지키고 유지하려는 특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차분하게 정제되어 생각이 많고 신중한 듯 하지만, 언제든 모험적이고 확장적인 행보를 보일 수 있는 준비가 된 일주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을축 일주에게 갑진년에는 또 진토 화개살의 기운이 도래합니다. 축토와 진토 모두 화개살의 글자이지만 일간 을목을 기준으로는 편재와 정재가 되기도 하고 그 지장간 안의 기운 또한 다르며, 일지 축토는 금 기운의 고지이고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수 기운의 고지인 만큼, 각 글자에 주도적으로 잠재된 특성도 다릅니다. 다만 두 기운 모두 수분을 머금고 있고 을목의 생명력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두 기운 간의 연계성은 좋습니다. 그런데 또 두 기운 간의 연계성이 좋기 때문에, 충돌을 통해 잠재된 기운이 깨어나기에는 아쉬운 면이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간과 천간에서 을목과 갑목이 축토와 진토를 압박하고 들어오는 만큼, 자연스럽게 그 잠재된 기운들이 깨어나고 일간 을목이 다채롭게 자신의 재능을 펼치면서 결실을 아우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다음 십이신살의 관점에서 을축 일주의 일지 축토를 기준으로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천살이 되고, 일지 축토는 화개살이 됩니다. 천살은 하늘의 기운이고, 위에서 작용하는 기운인 만큼 직관력이 좋아지게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천살의 기운은 하늘의 기운이기 때문에, 불가항력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고, 그러한 불가항력성으로 그 기운에 강하게 휘둘릴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이 천살의 기운은 일지 축토의 화개살 기운과의 연계성이 좋고, 둘다 강한 잠재적 에너지를 갖습니다. 그래서 지지의 기운들만 놓고 보자면, 기운은 가득 찼는데 흐름이 막히고 다운된 느낌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간 을목에게는 이 두 기운이 재성의 기운이고, 일간 을목은 천간 갑목에게 힘을 받기도 하는 만큼, 전체적인 관점에서는 잠재된 에너지와 역량을 잘 깨우고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십이운성론의 관점>

을축 일주의 일지 축토는 일간 을목을 기준으로 십이운성론의 흐름에서 쇠가 됩니다. 쇠는 제왕이라는 기운의 다음 단계입니다. 그래서 권력의 정점에서는 물러났지만 여전히 힘도 남아있고 권력에 대한 미련도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전면에 나서지는 않지만 장막 뒤에서 자신의 힘을 행사하고 싶은 상태이기도 하고, 전면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강한 견제를 피하면서도 실속을 챙길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합니다. 또한 앞서의 흐름을 이어왔기 때문에 경험의 완숙미와 상황에 대처하는 노련미가 있는 상태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을축 일주의 일간 을목에게 축토는 편재인데, 편재가 변동성이 크고 불안정한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아슬아슬하지만 또 잘 제어하면서 현실적 결실을 취할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또 다르게 해석하면, 을축 일주가 쇠의 흐름이라는 것은, 쇠의 느낌에 해당하는 시기나 상황으로 갈수록 좋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을축 일주는 일지 축토의 지장간 안에 일간 을목을 극하는 신금의 기운이 내재해 있기도 한 만큼,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서 경험이 쌓여 신금의 예봉을 잘 제어할 수 있을 때 더욱 좋아진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런 만큼 을축 일주는 자신의 야망이 다 채워지자면 인고의 시간을 거쳐야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을축 일주에게 갑진년의 지지인 진토는 관대의 흐름이 됩니다. 관대의 기운은 갓 사회에 나온 청년의 느낌이 됩니다. 그만큼 적극성이 넘치고 도전적이며 때로는 무모한 질주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진성이 있기 때문에, 강력한 돌파력이 생기게 되고, 그러한 돌파의 힘 때문에 주변의 충돌과 저항도 함께 커지면서, 좌충우돌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을축 일주의 쇠의 기운이 갑진년에 이러한 관대의 기운을 맞이하는 것은, 일간 을목 입장에서는 관대의 강한 돌파력과 함께, 기존에 가지고 있던 쇠의 완숙미가 더하여지는 느낌이 됩니다. 이는 마치 갓 통치의 전면에 나선 왕자가 정치 원로를 뒷배경으로 하여 움직이는 느낌이 됩니다. 또한 갑진년에 천간으로 갑목 겁재의 기운도 함께 하는 만큼 을축 일주의 일간 을목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향해 나아가고 결실을 취함에 있어 강한 동반자의 역할을 해 주게 됩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방만하게 많은 것을 한 번에 다 해결하려 하다가 옆으로 새는 기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무언가 좀 더 대의적인 명분을 정하고 그것을 향해 기운들을 집중해 간다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