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tv.kakao.com/channel/3409846/cliplink/403078670

무신 일주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무신 일주는 왼쪽에서 두 번째, 위에 노랑, 밑에 흰색, 무신 이라고 읽는 부분입니다. 위에 노랑은 양의 토 기운이고 넓은 평원, 큰 땅, 거대한 흙 등을 상징합니다. 밑에 흰색은 큰 바위, 큰 돌, 동물로는 원숭이, 계절로는 가을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위와 아래의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로 형상화하면 넓은 평원에 솟아 있는 큰바위, 넓은 평원에 나온 원숭이, 가을의 평원 등이 됩니다.

 

먼저 넓은 평원에 솟아 있는 큰 바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큰 바위가 땅을 뚫고 위로 솟았다는 것은, 그 만큼 강한 에너지의 집중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무신 일주는 기본적으로 마니아 기질을 갖게 돼서, 관심 분야나 관심있는 사람이 있다면 몰입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는 역으로 관심없고 싫은 것에 대해서는 철저히 거부감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또한 바위가 땅 위로 솟았다는 것은, 스스로 드러나고 싶은 욕망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래서 무신 일주는 명예심과 야망이 있게 되고, 자신을 인정하고 칭찬해 주는 상황에서 더 분발하게 됩니다. 그런데 때로는 그런 주목받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과하게 작용하면, 단기적 이득을 따르게 되고 장기적으로는 손해가 될 수 있는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주목받고 싶은 욕구는 무대 기질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무대 위로 올라가면 상당히 수줍어하는 모습을 보이는 무신 일주도 많습니다. 다만 인정과 칭찬에 목마른 일주입니다. 그래서 자신을 인정하고 칭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강한 의리를 가지고 가는 일주이기도 합니다.

 

다음 넓은 평원에 나온 원숭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원숭이는 호기심이 많고 재기발랄한 동물입니다. 그래서 무신 일주도 이것 저것 재능이 많을 수 있고, 관심 있는 것에 대해서는 꼼꼼함과 세심함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새로운 것을 시도하거나 새로운 장소에 가는 것에 대해서도 크게 주춤함이 없습니다. 원숭이라는 동물 자체도 움직임이 많은 동물이고, 평원에 나온 원숭이이기 때문에 더 활달하게 여기저기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그 만큼 무신 일주는 주기적으로 콧바람을 쐬 주거나, 아니면 직장의 이동이나 이직, 또는 일적으로 유통과 관련된 일이나 움직임이 많은 일 등을 하면 좋습니다. 그렇게 무신 일주는 움직임과 경험을 통해 본인의 호기심도 충족시키고, 성장하게 되는 일주입니다. 또한 원숭이는 기본적으로 숲속의 나무 위에 있을 때 가장 안정적입니다. 그런데 자신을 숨기기 힘든 평원 위에 나와있다는 것은, 새로운 장소에 대한 호기심도 발동을 하지만 마음의 불안함도 갖게 됩니다. 그래서 무신 일주는 상당히 신중함이 강한 일주입니다.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대표적 일주 중에 하나입니다. 그런데 때로는 그런 신중함이 크고 장기적인 것에 대해서는 잘 작용을 못하기도 합니다. 또는 큰 것에 대한 욕심으로 종종 현혹이 되는 일주이기도 하기에 작은 것에서는 손해가 없는데, 큰 것에서는 때때로 손해를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무신 일주는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소통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렇다고 한 번에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은 아닙니다. 다만 외국에 나가서 적어도 그 지역 언어로 대화를 하고 싶어하는 성향이 됩니다. 그래서 무신 일주는 기본적으로 언어 감각이 좋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을의 평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을이라는 계적은 곡식이 여물고 과일이 결실을 맺는 계절입니다. 그 만큼 무신 일주는 기본적으로 먹을 복이 있는 일주가 됩니다. 본인 스스로 맛있는 것을 찾아다니는 것을 좋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이라는 계절은 또한 정리의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마음의 서늘함이나 차가움이 있게 되고, 관계성을 통해서 따뜻함을 느끼고자 합니다. 그 만큼 무신 일주는 혼자 씩씩하게 잘 이겨내고 잘 사는 것 같으면서도 주변 관계성을 통해서 온기를 받고 싶어하는 일주가 됩니다.

 

그런데 무신 일주의 주변 사주 구조에서 화 기운과 토 기운이 강하고, 앞으로 뻗어나가는 금 기운이나 수 기운이 약하면, 야망이 크지 않고 적당히 현상 유지 하면서 안정 지향적으로 가려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변 사주 구조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다면 의도적으로 도전적이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서 기운을 뻗어나가야 좋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고 너무 안주하려 하거나 자기 세상에만 머물려 하면 우울증이 올 수도 있고, 건강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무신 일주는, 그 일주 본연의 모습대로 도전적이고 재기발랄하게 살아갈 때 가장 자신의 강점이 잘 드러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사주 강의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38. 기축 일주  (0) 2019.10.18
강의 37. 무술 일주  (0) 2019.10.18
강의 35. 무오 일주  (0) 2019.10.18
강의 34. 무진 일주  (0) 2019.10.18
강의 33. 무인 일주  (0) 2019.10.18
Posted by 777lil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