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5KzgLtUlpyQ

 

 

- 2024년 기축 일주 을사년 운세 2부  

 

- 신살의 관점

다음 신살의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기축 일주에게 을사년에는 사화 역마살의 기운이 도래합니다. 그런데 이 사화 역마살의 기운은 일간 기토를 기준으로 십성론의 관점에서 정인이 됩니다. 그래서 기축 일주는 정인에 해당하는 공부, 계약, 자기만의 시간과 공간을 위한 움직임이 있을 수 있고, 겉에 보이는 것보다 내면에서 마음의 분주함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때에는 한 번씩 스스로 앉는 자리, 머무는 자리의 위치와 환경을 바꿔주면 좋습니다.

 

특히 공부를 하는 입장이라면 한 자리에서만 너무 오래 공부하기보다 다른 공부의 자리도 마련해 놓고 적당히 돌아가면서 공부하면 좋습니다. 또한 한 과목만 오래 하기보다 적절히 과목 변경을 하여, 선제적으로 마음이 산만해질 수 있는 부분을 제어함이 좋습니다. 그렇게 적당한 변화를 주면 마음의 산만함을 가라앉히면서 해야 할 바를 향해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기축 일주는 일지 축토가 화개살의 기운입니다. 그리고 축토 화개살의 기운 안에는 기토 비견, 신금 식신, 계수 편재의 기운이 내재해 있습니다. 그래서 기축 일주는 기본적으로 과도하게 티를 내지 않고 차분한 듯 보이지만 야망이 크고 진득하게 자신이 원하는 바를 향해 나아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축 일주의 화개살의 기운에 대해 사화 역마살의 기운이 도래하는 것은, 축토 화개살의 기운에 잠재된 기운을 일부에서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그런데 사화 역마살은 정인이고, 축토 화개살은 비견이 되어 마음의 들썩임에 비해 실제 행동에 나서는 흐름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은 마음의 답답함을 커지게 하면서 한 번씩 돌발적 움직임을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축 일주는 을사년을 맞이하여 마치 음악을 듣고 리듬을 타서 적절히 몸을 움직여주는 것처럼, 의식적이고 주기적으로 몸과 마음을 풀어주려 함이 좋습니다.

 

 

다음 십이신살의 관점에서 기축 일주의 일지 축토를 기준으로 을사년의 사화는 지살이 되고, 일지 축토는 화개살이 됩니다. 지살은 지지의 기운 변화에서 밖으로 생동하는 시작의 기운입니다. 그래서 십이운성론의 장생과 매칭되는 만큼, 잠재된 에너지가 크고 기운의 분주함이 있으며 외부로 지속적인 에너지를 발산하게 됩니다. 이는 두서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역마살처럼 작용하여 역동적 움직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 지살의 기운이 일간 기토에게는 정인이 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역동적 움직임이나 부산스러운 행동으로 바로 나타나기보다, 내면에서의 분주함이 먼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가지에 싫증이 빨리 날 수도 있고, 생각의 흐름이 비약적으로 튕길 수도 있으며, 마음의 변덕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지살의 기운이 긍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강한 기운의 이끌림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일지 축토는 화개살의 기운이 되어 지살의 기운에 같이 반응하거나 강하게 이끌기에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물론 지살의 기운은 화개살의 기운을 통해 적당히 방만한 기운이 조절될 수 있고, 화개살의 기운은 지살을 통해 일부의 자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큰 틀에서는 속으로 쌓이는 욕구불만이 커질 수 있는 면이 있기에 두 기운을 조화시키자면 적절히 사적인 시간에서 기운을 풀어주는 취미활동이나 공공의 기준 안에서 작은 일탈 등을 해 주면 좋습니다.

 

 

- 십이운성론의 관점

마지막으로 십이운성론의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십이운성론의 관점에서 기축 일주의 일지 축토는 묘의 흐름이 됩니다. 묘는 묘지에 묻힌 상태를 의미합니다. 실제 묘지에 묻히는 의미는 아니고, 묘지에 묻힌 것처럼 자기 세상 안에 갇히는 느낌이 됩니다. 이는 완고함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자신의 공간을 지켜야 하기에 방어적이고 안전주의적 특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그 안에서 자급자족을 해야 하기에 치밀하고 계산적일 수 있고 자신의 것을 빼앗기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크며 소유한 것에 대한 집착이 강할 수 있습니다. 한편 너무 갇혀만 있으면 답답할 수 있기 때문에, 묘의 기운은 가끔 극단적으로 돌발적 행동을 하거나 금전적 지출을 하기도 하는데, 결국은 다시 기본적인 묘의 특성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기축 일주의 묘의 기운에 대해, 을사년에는 제왕의 기운이 도래합니다. 제왕의 기운은 일간의 기운 변화에 있어 정점을 맞이한 상태가 됩니다. 기운에서 정점을 맞이한 것은, 마치 제왕이 된 것과 같은 느낌이 됩니다. 좋게 말하면 강력한 힘이 생기는 것이고, 상황 주도권과 더불어 주목도가 최고조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나쁘게 말하면 오만하고 독단적일 수 있으며, 주변의 강한 견제를 받을 수 있고, 자기만의 세상에 고립되어 외로워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제왕의 기운 흐름에서는 강한 힘을 발휘하는 것도 좋지만, 또 나중을 생각하여 적절한 절제와 주변과의 소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기축 일주의 묘의 기운이 을사년에 제왕의 기운을 맞이하는 것은, 강한 자기 확신과 자부심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마음에서 큰 이상을 꿈꿀 수 있도록 하는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간 기토에게 묘의 기운과 제왕의 기운이 각각 비견과 정인이 되기 때문에, 마음으로 품은 이상에 비해 정작 외부로 새롭게 펼쳐지는 힘은 약할 수 있고, 이는 속으로 쌓이는 욕구불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을사년의 관성과 인성의 흐름 속에서 완연하게 새로움을 추구해 나가기도 버거운 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큰 틀에서는 자신의 기반을 다지고 상황을 유지하며 책임의 무게를 잘 감당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되, 일부의 시간을 할애하여 사적으로 스트레스를 풀고 내면의 쌓인 기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러면 추후 새롭게 펼쳐지는 흐름으로 전환될 때에도 몸과 마음이 풀려있는 상태가 되어 리듬감있게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777lilium
: